본문 바로가기

데일리피플 | DailyPeople

해리의 "태국 이야기"(7) 태국에서도 열린 '세기의 재판', 그리고 해외도피한 잉락 전 총리의 선택

태국에서도 열린 '세기의 재판', 그리고 해외도피한 잉락 전 총리의 선택

 

잉락 전 총리

 

지난 8월 2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법원 주변에는 아침부터 경찰과 기자들이 몰려들고 있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 오후 2시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선고공판이 열릴 예정이었다.

 

같은 날 아침. 태국 방콕 쨍와타나 대법원 주변상황은 서울과 무척 닮았다. 쌀 수매와 관련된 국정 태만 혐의로 기소된 전 잉락총리의 선고가 한국시간보다 몇시간 빠른 오전 9시에 예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잉락 전 총리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붉은 장미꽃을 들고 집결했다. 경찰은 혼란에 대비해 며칠 전부터 잔뜩 긴장해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었다. 잉락 전 총리의 운명을 결정할 이날 재판은 태국에선 ‘세기의 재판’으로 불릴만 했다.

 

몇시간 뒤의 상황은 매우 다르게 전개됐다. 재판 시작 15분전 잉락 전 총리가 탔을 것으로 짐작되는 검은색 밴 한대가 미끄러지듯 법원 앞에 섰지만 잉락 전 총리는 내리지 않았다. 한국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5년 징역형 선고가 전해진 즈음 태국 정권의 실세인 쁘라윗 웡수완 부총리는 잉락 전 총리가 태국을 떠나 이웃국가 어딘가에 있다고 발표했다.

 

이날 잉락 전 총리와 함께 기소된 전 정부의 관료들은 전 상무부장관이 부패 혐의로 42년 형을 선고받고 수감되는 등 대부분 중형을 선고받았다. 잉락 전 총리가 나타나지 않아 재판부는 선고일을 9월 27일로 다시 연기했는데, 이날 밀봉된 판결문에 대한 예측 또한 다양했다. 그 가운데 8~10년 징역형이 유력했다고 보는 시각이 많았다.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겠다고 공언한 잉락 전 총리는 결국 오빠인 전 탁신 총리의 뒤를 이어 해외도피의 길을 택했다.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보는 태국인은 없는 것 같다. 해외도피 루트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연일 태국 언론을 달구고 있는데 헬기, 육로, 배를 이용했다는 등의 추측들이 제기되고 있다. 태국 언론들은 현정권의 거듭된 부인에도 불구하고 잉락 전 총리의 해외도피는 정권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분석들을 쏟아내고 있다. 철통 같은 감시 속에서 재판 직전 출국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잉락 전 총리는 실형을 피하고, 현정권은 골칫거리를 해결하는 셈이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윈윈 옵션이라는 것이다. 잉락 전 총리에게 법원이 곧바로 체포영장이 발부했지만 체포되리라고 보는 시각도 없는 것 같다.

 

잉락 전 총리의 해외도피로 ‘탁신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2000년 이후 태국 정치는 친탁신과 반탁신으로 구도로 양분됐다. 탁신의 포퓰리즘 혜택을 받은 농민, 저소득층이 친탁신이고, 반탁신파는 군부와 엘리트 층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군부와 사법부가 쿠데타나 재판을 통해 탁신파를 끌어내린 뒤 다시 선거를 하면 늘 머릿수가 많은 친탁신의 승리가 반복됐다.

 

탁신 가문은 중국계로 탁신 전 총리의 할아버지가 중국에서 치앙마이로 이주해 정착한 뒤 비단사업, 금융업, 건설 등에 관여했고, 탁신의 아버지는 치앙마이 국회의원도 했다. 1949년 7월 26일 생으로 올해 68세인 탁신은 치앙마이 온천이 있는 쌈캄팽에서 태어나 15세 때까지 살았으며 아버지가 하는 극장 일을 돕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부모로부터 떼돈을 물려 받은 것은 아닌 것 같다. 탁신은 38세에 경찰을 그만뒀는데 마지막 직함은 경찰 정책기획국장으로 군계급으로 치면 월급봉투가 그리 두꺼울리 없는 중령 정도였다. 경찰을 그만 둔 뒤 첫 사업으로 실크사업, 영화관운영 사업 등을 했지만 죄다 말아먹고 파산직전까지 갔다. 경제적으로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단연 경찰과의 인연 때문이었는데 경찰전체에 IBM 컴퓨터 납품 일을 맡아 사업형편이 피기 시작했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사업과 통신위성사업까지 확장하면서 엄청난 부를 축적하게 되었다. 사업을 한 것은 38세부터 45세의 7년 간이었고, 45세에는 외무장관에 발탁돼 공직을 시작했다. 그 뒤 2001년에 총리가 됐는데 따지고 보면 경찰 유니폼을 벗은 지 15년만에 태국 최고의 거부요, 권력의 끝까지 간 셈이니 이런 신기록이 세상에 또 있을까 싶다.

 

탁신은 부패혐의로 국민의 원성이 자자한 가운데2006년 9월 쿠데타로 쫓겨난 뒤 당시 44세의 막내 여동생인 잉락을 정치에 불러들였다. 오빠가 창업한 회사의 계열사 사장을 하던 잉락은 정치는 안한다며 손사래를 치더니 결국 정치입문 선언 50일이 안돼 총리에 올랐다. 탁신의 ‘꼭두각시’라는 저평가가 재임기간 내내 제기됐지만 선거에 의해 총리가 됐다는 민주주의 정통성을 늘 주장했다. 친인척을 경찰총수에 앉혔다는 권력남용 혐의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실각했고, 바로 이어 현정권의 쿠데타가 일어났지만 재임초반 헤어스타일과 패션까지 유행시키며 지지와 주목을 받기도 했다.

 

포퓰리즘과 부패, 민주주의란 가치 사이에서 태국에 끝없는 대립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탁신에 이은 잉락의 퇴장으로 태국사회는 또 다른 국면을 맡고 있다.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이라고는 하지만-